[study] .htm과 .html의 차이 [MS-DOS 및 Windows 운영체제의 파일 시스템의 8.3 형식]
·
◈ Study/기초튼튼 개발지식🥔
- .htm과 .html의 차이 "htm"과 "html"은 사실상 같은 것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과거에는 MS-DOS 및 Windows 운영체제의 파일 시스템이 8.3 형식(8글자의 파일 이름과 3글자의 확장자)으로 제한되어 파일 이름이 ".html"이 아닌 ".htm"으로 짧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오래된 웹 프로젝트에서 종종 볼 수 있다. 웹 브라우저에서는 이 두 확장자를 동일하게 처리한다. 예를 들어, "index.html"을 "index.htm"으로 바꾸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동일한 내용의 파일이지만, 파일 이름의 길이가 8자 이내로 제한되는 특정 상황에서 "HTM" 확장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의 운영 체제에서는 파일 이름의 길이에 제한이 거의 없어졌기 때문에 "HTML"이 더..
[study] 프로그래밍 명명규칙 케이스 총 정리 [카멜 케이스(camel case), 파스칼 케이스(pascal case), 케밥 케이스(kebab case), 스네이크 케이스(snake case)]
·
◈ Study/기초튼튼 개발지식🥔
- 프로그래밍 명명규칙 케이스 총 정리 1. 카멜식(camel case) 낙타 모양에서 따온 방법으로 첫 글자는 소문자로, 두 번째 단어부터는 대문자로 표현하는 방식 → Java 변수 및 메서드 명명에 주로 사용 원문 : MY NAME IS YERMI 카멜식 : myNameIsYermi 2. 파스칼식(pascal case) 카멜식이랑 비슷하지만 첫 단어도 대문자로 시작하는 방식 → 파일이름에 주로 사용 // 원문 MY NAME IS YERMI // 파스칼식 MyNameIsYermi 3. 케밥식(kebab case) 먹는 케밥에 꼬챙이를 낀 모습이며, 모두 소문자로 표현하는 방식. 단어와 단어 사이에는 하이픈(-) 사용 → 스프링의 yml 파일이나 url 주소에서 주로 사용 // 원문 MY NAME IS ..
[Error Note] Cafe24 API, 과다접속으로 인한 인증절차 확인 요청 페이지 찾는 방법 [카페24 API가 동작 안 될 때 해결방법]
·
◈ Study/에러노트(Error Note)🧱
- Cafe24 API, 과도한 호출로 동작 안 할 때 해결방법 카페24 API 사용 시, 페이지 내에서 API를 너무 많이 호출하게 되면 인증확인 절차를 요구한다. (대체로 테스트 할 때 만나게 될 상황이다.) 그러나, 인증확인 페이지로 redirect 하지는 않고 API만 동작하지 않는다. 에러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개발자도구(F12)에서 확인할 수 있다. Access to XMLHttpRequest at has been blocked by CORS policy: No 'Access-Control-Allow-Origin' header is present on the requested resource. 개발자도구에서 Failed to load resource: net::ERR_FAILED 에러메시지를 전..
[다이어그램]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 Intercollegiate Athletic Database, Order Entry Database
·
◈ Study/다이어그램(Diagram)📈
- ERD : Intercollegiate Athletic Database, Order Entry Database 1) Intercollegiate Athletic Database ICA(Intercollegiate Athletic) 데이터베이스에는 관련 엔터티, 고객, 직원, 리소스, 시설 및 위치와 함께 이벤트 요청 및 이벤트 계획을 기록하는 테이블이 포함되어 있다. 2) Order Entry Database Order Entry 데이터베이스의 Customer, OrderTbl 및 Employee 테이블을 사용한다. Customer 테이블에는 주문한 클라이언트가, OrderTbl에는 고객 주문에 대한 기본 정보가, Employee 테이블에는 주문을 받는 직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GoF] Decorator 패턴 : 장식들과 내용물을 동일시한다 [객체에 장식을 더해 가는 패턴]
·
◈ Study/디자인패턴(GoF)🥞
- Decorator 패턴 : 장식들과 내용물을 동일시한다 Decorator 패턴은 중심이 되는 객체가 있고, 거기에 장식이 되는 기능을 하나씩 추가해서 목적에 더 맞는 객체로 만들어 가는 패턴이다. 객체에 장식을 더해 가는 디자인 패턴이라 이해하면 된다. - 어떤 경우에 사용할까? Decorator 패턴에서는 장식틀과 내용물이 공통의 인터페이스를 가지지만, 감싸면 감쌀수록 기능이 추가된다. 이때 감싸지는 쪽을 수정할 필요는 없기에, 내용물을 변경하지 않고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 예제 코드 이름 설명 Display 문자열 표시용 추상 클래스 StringDisplay 1행으로 구성된 문자열 표시용 클래스 Border '장식틀'을 나타내는 추상 클래스 SideBorder 좌우에만 장식틀을 붙이는 클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