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보안] 포트는 왜 중요할까? [포트와 보안의 상관 관계]
·
◈ Study/웹 보안(Web Security)🔐
- 포트는 왜 중요할까? 포트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특정 프로세스나 서비스가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출입구이다. 포트는 서로 다른 프로세스 간의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서비스의 접근성과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포트를 적절하게 관리하고 보호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안 위험: 개방된 포트는 악의적인 공격자에게 시스템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서비스 가용성: 올바른 포트 관리가 없으면 서비스에 접근하기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성능: 포트 충돌이나 부정적인 활동으로 인해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좀비PC나 브루트포스로 포트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정답은 YES. 좀비 PC나 브루트포스 공격은 포..
[study] 서버 사이드 렌더링 vs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웹 애플리케이션 렌더링 방식(SSR, CSR)]
·
◈ Study/기초튼튼 개발지식🥔
- 서버 사이드 렌더링 vs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과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은 웹 개발에 있어 주요한 접근 방식이며, 각각의 방법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렌더링하는 방식에 있어 서로 다른 접근을 제공한다. 1.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웹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요청 시 서버 측에서 HTML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후에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JS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초기 렌더링을 받은 HTML을 해당 스크립트로 인터랙티브하게 만든다. SEO(검색 엔진 최적화)에 유리하며, 초기 로딩 시간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 SSR 장점 SEO에 유리하며, 초기 로딩 시간이 짧음 일부 장치에서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임 - ..
[study] 개발에서 반영과 배포의 차이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단계: 반영과 배포의 이해]
·
◈ Study/기초튼튼 개발지식🥔
- 개발에서 반영과 배포의 차이개발에서의 반영과 배포는 둘 다 소프트웨어를 변경하거나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나타내지만, 목적과 단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1. 반영(Applying Changes)소프트웨어 개발 과정 중 변경 사항을 시스템에 적용하는 단계주로 개발 환경 또는 테스트 환경에서 이루어짐개발자가 작성한 코드가 다른 코드와 통합되고, 시스템이 이 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동작하는지 확인주로 버전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2. 배포(Deploy)소프트웨어를 실제 운영 환경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주로 프로덕션 환경 또는 실제 운영 환경에서 이루어짐개발자들이 작성한 코드 변경 사항이 QA(품질 보증) 및 테스트를 거쳐 실제 사용자에게 제공보안, 안정성, 확장성 등의 다양한 측면을 ..
[Error Note] Local variable defined in an enclosing scope must be final or effectively final [forEach 안에서 변수 초기화 에러]
·
◈ Study/에러노트(Error Note)🧱
- Local variable defined in an enclosing scope must be final or effectively final forEach 문 안에서 변수 초기화를 시도하였으나, 에러를 만나게 되었다. 해당 에러는 람다(Lambda)식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에러이다. 바깥쪽 범위에 정의된 지역 변수는 final이거나 사실상 final이어야 합니다. 람다 안은 익명 클래스(anonymous inner class)이다 보니, 자바 컴파일러가 k, v와 같은 파라미터로 사용하는 변수와 로컬 변수를 구분하지 못한다고 한다. 해결방법으로는 클래스 단에서 변수를 만든 뒤에 사용해주면 된다. - 참고자료 자바 Local variable '변수명' defined in an enclosing sco..
[웹 보안] 보안이란 무엇인가? [웹 보안의 구성, 보안에 대한 기본적인 오해]
·
◈ Study/웹 보안(Web Security)🔐
- 보안이란 무엇인가? 1. 정보 보안의 3가지 요소 1) 무결성 : 권한을 가진 사람만 정해진 방법으로 정보를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나의 개인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나 자신뿐이다. 모르는 사람이 갑자기 나의 이름(id)과 비밀번호를 바꿀 경우 무결성이 침해된 것이다. 민감한 정보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공개되는 나의 닉네임을 누군가 함부로 바꾸는 경우 등에도 무결성이 침해된 것이다. 2) 기밀성 : 권한을 가진 사람만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나의 금고를 열 수 있는 건 나 자신뿐이다. 원하지 않는 사람이 내 금고 안에 있는 내용(개인정보, 비밀번호 등)을 보는 것은 기밀성이 침해된 것이다. 위에서 나온 경우처럼 모르는 사람이 나의 개인정보를 함부로 변경할 때, 개인정보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