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산술 연산자(2) [나머지 연산자(%) : 홀수, 짝수, 배수 검사]
·
◎ Java/Java☕
1. 나머지 연산자(%) 나머지 연산자는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 피연산자로 나누고 난 나머지 값을 결과로 반환하는 연산자다. * 나누는 수(오른쪽 피연산자)로 0은 사용할 수 없다. 나머지 연산자는 주로 홀수, 짝수, 배수 검사 등에 사용된다. System.out.println(i % 2 != 0);// 홀수 System.out.println(i % 2 == 0);// 짝수 System.out.println(i % 5 == 0);// 5의 배수 System.out.println(i % 5 != 0);// 5의 배수가 아님 나머지 연산자는 나누는 수로 '음수'도 허용한다. * 부호는 무시되며, 음수의 절대값으로 나눈다. System.out.println(10 % 8);// 2 System.out.prin..
[JAVA] 두 정수를 입력 받아 사칙 연산 결과 출력하기 [Scanner를 이용한 사칙 연산 만들기]
·
◎ Java/Java☕
[JAVA] 화면에서 입력 받는 방법[Scanner : 화면에서 입력 받기] 1. Scanner - 화면에서 입력 받기 먼저 Scanner 클래스를 사용하려면, 아래의 한 문장을 추가해줘야 한다. import java.util.*; // Scanner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추가 그 다음엔 Scanner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 yermi.tistory.com [JAVA] 산술 연산자(1)[사칙 연산자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1. 사칙 연산자(+-*/) 사칙 연산자,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은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규칙과 다르지 않다. - 곱셈(*), 나눗셈(/), 나머지(%) 연산자가 덧셈(+), 뺄 yermi.tistory.com - 두..
[JAVA] 산술 연산자(1) [사칙 연산자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
◎ Java/Java☕
1. 사칙 연산자(+-*/) 사칙 연산자,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은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규칙과 다르지 않다. - 곱셈(*), 나눗셈(/), 나머지(%) 연산자가 덧셈(+), 뺄셈(-)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다. - 피연산자가 정수인 경우, 나누는 수로 0을 사용할 수 없다. - 예제 OperatorEx5.java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OperatorEx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0; int b = 4; System.out.printf("%d + %d = %d%n", a, b, a + b); System.out.printf("%d - %d = %d%n", a, ..
[JAVA] 단항 연산자 [증감 연산자(++ --), 부호 연산자(+ -)]
·
◎ Java/Java☕
1. 증감 연산자(++ --) 증감 연산자는 피연산자에 저장된 값을 1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증감 연산자의 피연산자로 정수와 실수는 모두 가능하나, 상수는 사용할 수 없다. 증가 연산자(++) :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킨다. 감소 연산자(--) :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킨다. 타입 설명 사용 예 전위형 값이 참조되기 전에 증가시킨다. j = ++i; 후위형 값이 참조된 후에 증가시킨다. j = i++; - 예제 OperatorEx1.java public class OperatorEx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5; i++;// i=i+1;과 같은 의미. ++i;로 바꿔 써도 결과는 같음 System.out.println(i); i..
[JAVA] 산술 변환(usual arithmetic conversion) [피연산자 타입 일치를 위한 자동 형변환]
·
◎ Java/Java☕
1. 산술 변환(usual arithmetic conversion) 이항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의 타입이 일치해야 연산이 가능하기에, 피연산자의 타입이 서로 다르면 연산 전에 형 변환 연산자로 타입을 일치시켜야 한다. 이를 '산술 변환(usual arithmetic conversion)'이라고 한다. 산술 변환(usual arithmetic conversion) : 두 피연산자의 타입 중 더 큰 타입으로 일치시키는 것 int i = 10; float f = 20.0f; float result = f + (float)i; // 형변환으로 두 피연산자의 타입을 일치 float result = f + i; // 산술변환으로 형변환 연산자 생략 가능 2. 산술 변환의 규칙 1. 두 피연산자의 타입을 일치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