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OLID :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3) [LSP(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리스코프 치환 원칙]
·
▣ Framework/Spring🍃
- LSP(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리스코프 치환 원칙 리스코프 치환 원칙은 상속 관계에서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를 대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상위 클래스의 기능을 하위 클래스에서 변경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상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아래는 리스코프 치환 원칙이 위배된 코드이다. class Rectangle { int width; int height; public int getArea() { return width * height; } /* Constructor, getters, and setters */ } class Square extends Rectangle { @Override public void setWidth(int..
[study] Java에서 8진수랑 16진수는 언제 쓸까? [자바 내 8진수와 16진수 사용처]
·
◈ Study/기초튼튼 개발지식🥔
- Java에서 8진수랑 16진수는 언제 쓸까? Java에서 8진수와 16진수는 주로 코드 작성 시 상수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 (8진수는 0으로 시작하며, 16진수는 0x 또는 0X로 시작한다.) - 8진수 8진수는 일반적으로 플래그 비트나 퍼미션이 설정된 파일 모드, 네트워크 소켓의 포트 번호, 데이터 마스크 등과 같이 2진수 비트 패턴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0664는 파일 모드를 나타내며, 8진수 664를 2진수로 변환하면 110 110 100과 같다. - 16진수 16진수는 보통 메모리 주소나 RGB 색상, 문자열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0x1A는 16진수로 26을 나타내며, 0xFF0000은 빨간색을 나타내는 16진수 RGB 색상 코드이다. 또한, 16진..
[Spring] SOLID :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2) [OCP(Open-Closed Principle) : 개방-폐쇄 원칙]
·
▣ Framework/Spring🍃
- OCP(Open-Closed Principle) : 개방-폐쇄 원칙 개방-폐쇄 원칙은 확장에는 열려 있고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기존의 코드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하며, 변경에 유연하면서도 안정적인 시스템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 아래는 개방-폐쇄 원칙이 위배된 코드이다. public class Product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double price; private String type; /* Constructor, getters, and setters */ public double calculateDiscount() { if (this.type.equals("book")) { return this.price * ..
[Project] Riddle-Game : 세 번째 회의록 (23.05.09) [기술스택 및 활용도구 확정]
·
◈ Yermi Project/Riddle-Game🧩
[Project] Riddle-Game : 두 번째 회의록 (22.11.12) [오븐(oven)으로 프로토 타입 제작] [Project] Riddle-Game : 첫 번째 회의록 (22.10.24) [프로젝트 설계, 브레인 스토밍, 분량 정하기] [Project] 나의 두 번째 프로젝트, Riddle-Game! [추억의 미궁게임 만들어보기] - 나의 두 번째 프로젝트, Riddle-Ga yermi.tistory.com - Riddle-Game : 세 번째 회의록 (23.05.09) 1. 기술스택 및 활용도구 정리 개발환경 : Spring Boot 2.7.11, Tomcat 9 언어 : JAVA 11 DB : Oracle 11 Tool : IntelliJ IDEA 배포 : AWS EC2(Windows) 활..
[JAVA] long 타입에 접미사 'L'이 없으면 무슨 타입으로 인식될까? [변수의 타입과 접미사의 중요성]
·
◎ Java/Java☕
- long 타입에 접미사 'L'이 없으면 무슨 타입으로 인식될까? Java에서 숫자 리터럴을 표현할 때, 기본적으로 정수형은 int 타입으로 인식된다. long 타입의 숫자 리터럴을 표현할 때는 리터럴 값 끝에 대문자 L 또는 소문자 l을 붙여주어야 한다. long 타입의 숫자 리터럴에 대문자 L 또는 소문자 l을 붙이지 않고 그냥 숫자만 표현하면, Java 컴파일러는 해당 리터럴을 int 타입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long 타입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L 또는 l을 붙여주어야 한다. // long 타입 리터럴 long l = 123456789L; // int 타입으로 인식됨 long l2 = 10_000_000_000; // 에러 발생. // long 타입으로 인식하려면 10000000000L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