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공단10기] ALU와 제어장치, 레지스터, 명령어 사이클, CPU 성능 향상 기법 정리 [혼공컴운 2주차 미션 인증]
·
◈ 공부모임/혼공학습단⏰
- 혼공컴운 2주차 미션 인증 1. ALU와 제어장치 - 산술논리연산장치 : ALU(Arithmetic Logic Unit) ALU는 레지스터를 통해 피연산자를, 제어장치로부터 수행할 연산을 알려주는 제어 신호를 받아들인다. - 제어장치 : CU(Control Unit) 제어장치는 제어 신호를 내보내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부품이다. - 제어장치가 받아들이는 정보 클럭(clock) 해석해야 할 명령어 플래그 레지스터 속 플래그 값 시스템 버스 중 제어 버스로 전달된 제어 신호 2. 레지스터 - 우리가 알아야 할 8가지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 메모리에서 가져올 명령어의 주소 저장 명령어 레지스터 : 해석할 명령어 저장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 메모리의 주소 저장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 메모리와 주고받..
[혼공단10기] 컴퓨터의 4가지 핵심 부품, 컴퓨터가 표현하는 정보 단위 정리 [혼공컴운 1주차 미션 인증]
·
◈ 공부모임/혼공학습단⏰
- 혼공컴운 1주차 미션 인증 1. 컴퓨터의 4가지 핵심 부품 메모리 :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 CPU :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부품 보조기억장치 : 전원이 꺼져도 보관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부품 입출력장치 : 컴퓨터 외부에 연결되어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부품 시스템 버스 :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통로 - p.51의 확인 문제 3번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반드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합니다. 2. 컴퓨터가 표현하는 정보 단위 비트 : 0과 1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바이트 : 비트보다 더 큰 정보 단위 ex) 킬로바이트,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 테라바이트 등 이진법 ..
[일상] 🎊혼공학습단 9기 완주!🎊 [뻔뻔해:당당해:기막혀: 6주간 활동 회고하기]
·
◐ 기타/개발자의 일상🎈
- 혼공학습단 9기 완주! 6주 간의 긴 여정이 끝났다. 혼공얄코를 읽으면서 개발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쌓게 되어 정말 유익한 시간들이였다. 어떤 강의에서 들었던 말인데, 책을 나의 것으로 만들고 싶다면 그 책을 한 장으로 정리해보라는 말이 있었다. 그 책을 한 장으로 정리하기까지는 그만큼 내용을 이해하고 핵심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는 것. 기초지식에 약했던 나에게 혼공학습단의 미션들은 혼공얄코를 한 장으로 정리하는 연습과도 같았다. (미션을 하기 위해, 이 책을 몇 번 정독했는지 모르겠다..🤭) 마일리지로 구매할 도서는 바로 '혼공컴운' 💻 다음은 컴퓨터구조와 운영체제를 클리어 해보려고 한다. 혼공족장님, 6주 간 감사했습니다!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어려운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의 원리를..
[혼공단9기] 깃, 깃 호스팅 서비스 정리 [chapter 06 선택 미션]
·
◈ 공부모임/혼공학습단⏰
- 깃, 깃 호스팅 서비스 정리 [chapter 06 선택 미션] 1. 깃(Git) 현 시대 가장 많이 쓰이는 VSC(Version Control Service) → SVN, CVS 등 기존 VSC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리누스 토르발스(리눅스 창시자)가 개발 Git git-scm.com - 깃(Git)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 커밋(commit) : 프로젝트 상태를 버전으로 저장 리셋(reset) : 이전 버전으로 프로젝트 롤백 (프로젝트 전체 초기화) 리버트(revert) : 특정 버전으로 파일 롤백 (특정 파일 초기화) 브런치(brunch) : 프로젝트 안에 분기를 나눠 개별적으로 관리 머지(merge) : 작업된 파일들을 하나로 합치는 작업 (작업 파일 병합) 컨플릭트(conflict) : 코드가 ..
[혼공단9기] 개발에 필요한 여러 가지 도구 [chapter 06 기본 미션]
·
◈ 공부모임/혼공학습단⏰
- 개발에 필요한 여러 가지 도구 [chapter 06 기본 미션] - 확인 문제 풀기 - 1번 문제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래밍 언어의 경로를 프로그램에 알려주기 위해 환경변수가 사용됩니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도중 이미 개발된 유용한 기능을 넣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만들 때 필요한 도구들을 제공하는 것은 SDK, 프로그램의 기초 설계를 미리 구성해둔 것을 프레임워크라고 합니다. - 2번 문제 정답 : ② → 환경 변수는 프로그램이 작동할 환경에 지정된 값이다. - 3번 문제 정답 : ④ → JDK는 SDK이며, 나머지는 다 패키지 매니저이다. - 4번 문제 정답 : ③ →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는 환경 변수와 관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