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ResponseEntity란? [HTTP 응답을 생성할 때 매우 유용한 클래스]
·
▣ Framework/Spring🍃
- ResponseEntity란?ResponseEntity는 Spring에서 HTTP 응답을 생성할 때 매우 유용한 클래스이다. 상태 코드, 헤더, 본문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HTTP 응답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기본 사용법 // 기본적인 ResponseEntity 사용 예시ResponseEntity response = new ResponseEntity(body, HttpStatus.OK);- 주요 사용 예시들 1) 기본적인 응답 ResponseEntity.ok() : 상태 코드 200 OK와 함께 응답 본문 반환 @ResponseBody@PostMapping("/example")public ResponseEntity example() { // 정상적으로 처리된 응답 ..
[study] HTTP 응답 코드 : 1XX, 2XX, 3XX, 4XX, 5XX
·
◈ Study/기초튼튼 개발지식🥔
- HTTP 응답 코드 : 1XX, 2XX, 3XX, 4XX, 5XX HTTP 응답 코드는 HTTP 요청에 대한 서버의 응답 상태를 나타내는 3자리 숫자이며, 해당 요청에 대한 서버의 처리 상태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1xx, 2xx, 3xx, 4xx, 5xx의 다섯 가지 범주로 나눠진다. - 1xx(Informational) : 요청이 수신되었고 처리 중입니다. - 2xx(Successful) :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200 OK: 성공적인 요청 201 Created: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습니다. 204 No Content: 요청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지만, 응답 본문에는 아무 내용도 없습니다. - 3xx(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기 위해 추가 동작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