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공단10기] 운영체제, 프로세스와 스레드, CPU 스케줄링 정리 [혼공컴운 4주차 미션 인증]
·
◈ 공부모임/혼공학습단⏰
- 혼공컴운 4주차 미션 인증 1. 운영체제 - 운영체제란? 실행할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고,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실행되도록 돕는 특별한 프로그램 커널 :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을 담당 이중 모드 : CPU가 명령어를 실행하는 모드를 커널 모드와 사용자 모드로 구분하는 방식 시스템 호출 : 운영체제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커널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 대표적인 운영체제 서비스 : 프로세스 관리, 자원 접근 및 할당, 파일 시스템 관리 2. 프로세스와 스레드 - 프로세스란? 실행 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의 종류에는 포그라운드 프로세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있다. 운영체제는 프로세스 제어 블록을 통해 여러 프로세스를 관리한다. 프로세스 상태에는 생성, 준비, 실행, 대기, 종료가 있다. 많은 운영체제..
[혼공단9기] 운영체제, 커널, 오픈소스 등 [chapter 04 기본 미션]
·
◈ 공부모임/혼공학습단⏰
- 운영체제, 커널, 오픈소스 등 [chapter 04 기본 미션] 1. 운영체제 :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기기와 사용자를 연결하고 중재하는 역할 ex) 윈도우, 맥OS, 리눅스(LINUX) 등 ① 사람이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② CPU, 메모리, 그래픽 카드 등의 기기들을 가동하고 제어해서 사용자가 컴퓨터로 작업할 수 있는 환경 마련 - 기계에 따른 운영체제 점유율 PC : Microsoft Windows, Apple MacOS, Linux 모바일 : Google Android, Apple iOS 스마트워치 : WearOS, WatchOS 초소형컴퓨터 : 라즈베리 파이 OS 2. GUI vs CLI : 컴퓨터를 사용하는 두 가지 방식..
[Linux] nano 에디터 사용하기 [리눅스 파일 편집 쉽게 하기]
·
▣ OS : 운영체제/Linux🐧
- nano 에디터 사용하기 Linux에서 파일을 편집하는 방법으로는 vi와 nano 에디터가 있다. 오늘은 그 중 사용법이 더 쉬운 nano 에디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 nano 에디터 간단한 명령어 Ctrl + O : 파일 이름 작성 Ctrl + X : 파일 나가기 Ctrl + K : 잘라내기 Ctrl + U : 붙여넣기 Ctrl + W : 검색 Ctrl + 6 : 블록 지정 (Mark Set) - 참고자료 [무료] 생활코딩 - Linux - 인프런 | 강의 본 수업에서는 리눅스의 사용법을 다룹니다. 특히 초심자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이 명령어를 이용해서 컴퓨터를 제어하는 법입니다. 여기서는 초심자가 명령어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가장 보편적 www.inflearn.com
[Linux] sudo : 최고 관리자 계정 [sudo, su, su- 차이점]
·
▣ OS : 운영체제/Linux🐧
- sudo : 최고 관리자 계정 super user do의 약자 최고 권한을 가진 계정으로, super user 또는 root user라고도 불린다. UNIX 계열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다 보니, 권한(permission)이 중요시 되었다. sudo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은 매우 조심해야 한다. 한 가지 예로, sudo rm -rf /를 실행하면.. 관리자 계정으로 실행하였기에 루트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이 모두 삭제가 된다..😨😨 - sudo, su, su - 차이점 sudo : 현재 계정에서 다른 계정의 권한만 빌림 su : 다른 계정으로 전환 su - : 다른계정으로 전환 + 그 계정의 환경변수 적용 - 참고자료 [무료] 생활코딩 - Linux - 인프런 | 강의 본 수업에서는 리눅스의 사용..
[Linux] 디렉토리 관련 기본 명령어 정리 [ls, pwd, cd, mkdir, rm 등]
·
▣ OS : 운영체제/Linux🐧
- 디렉토리 관련 기본 명령어 정리 1. 운영체제를 제어하는 방법의 종류 리눅스는 명령어를 통해 제어하는 CLI 방식을 사용한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 : 아이콘 등의 그래픽으로 제어 CLI(Command-Line Interface) : 문자로 된 명령어로 제어 2. ls : 디렉토리 내 파일 목록을 조회하는 명령어 ls # 'list'의 준말 명령어 뒤에 -l, -al 등을 붙으면 추가적인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를 리눅스에서는 옵션 또는 파라미터라고 부른다. ls -l # -l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좀 더 자세하게 보여주는 명령어 # 파일권한, 소유자, 용량, 생성일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ls -al # -al : 숨김파일을 포함한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