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eans Graph 확인 및 context 사용[IoC(Inversion of Control) 실습하기]
1. IoC(Inversion of Control)란? '제어역행'이라 불리며, IoC가 적용되면 객체는 의존하는 다른 객체를 생성 및 찾는 대신 수동적으로 의존성을 받는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제어역행(IoC)을 통해 애플리
yermi.tistory.com
1. 의존관계 주입(Dependency Injection)
- 셋터를 통한 주입(Setter Injection)
<bean class="edu.blz.ioc3.Money" id="money">
<property name="amount">
<value>2000</value>
</property>
</bean>
- 생성자를 통한 주입(Constructor Injection)
<bean class="edu.blz.ioc3.Money" id="money">
<constructor-arg>
<value>2000</value>
</constructor-arg>
</bean>
2. 네임스페이스를 활용한 의존관계 주입
<bean class="edu.blz.ioc3.Money" id="money" p:amount="2000" />
<bean class="edu.blz.ioc3.Money" id="money" c:amount="2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