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현식(JSTL) 안에서 삼항연산자 쓰는 방법
JSTL 안에서도 조건에 따른 값이 달라지는 삼항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JSTL 안에서 문자열을 연결하고 싶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나 '||'를 사용하게 되면 에러가 발생한다.


JSTP 안에서 문자열 연결을 하고 싶다면
'+='를 사용하면 된다.


단순한 문자열 연결은 아래처럼 연결 할 수 있다.

<c:set var="name" value= "예르미" />
<c:set var="coding" value= "코딩노트" />
<c:set var="tasty" value= "맛집탐방" />
<c:set var="test" value="${name == '예르미' ? (name += '의 ' += coding) : (name += '의 ' += tasty)}" />
<c:out value="${name}의 ${coding}" />
<!-- 아래는 에러가 발생하는 상황들 -->
<c:set var="test" value="${name == '예르미' ? (name의 coding) : (${name}의 ${tasty}}" />
<!-- name의 coding : 문자열이 아니라서 에러 발생 -->
<!-- ${name}의 ${tasty} : JSTL 내 JSTL 사용으로 에러 발생 -->
- 참고자료
[JSP] JSTL(EL) 문자열 연결(문자열 더하기)
apple, delicious, tateless 세 개의 변수가 선언되어 있습니다. JSTL(EL)에서는 '+' 연산자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단순히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문자열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만약, 삼항연산자로 처리
congso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