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long 타입에 접미사 'L'이 없으면 무슨 타입으로 인식될까?
Java에서 숫자 리터럴을 표현할 때, 기본적으로 정수형은 int 타입으로 인식된다. long 타입의 숫자 리터럴을 표현할 때는 리터럴 값 끝에 대문자 L 또는 소문자 l을 붙여주어야 한다.
long 타입의 숫자 리터럴에 대문자 L 또는 소문자 l을 붙이지 않고 그냥 숫자만 표현하면, Java 컴파일러는 해당 리터럴을 int 타입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long 타입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L 또는 l을 붙여주어야 한다.
// long 타입 리터럴
long l = 123456789L;
// int 타입으로 인식됨
long l2 = 10_000_000_000; // 에러 발생.
// long 타입으로 인식하려면 10000000000L과 같이 L을 붙여줘야 함
long l3 = 10_000_000_000L;
- 정수형 타입
[JAVA] 변수의 타입(2) [정수형 타입 byte, short, int, long, 오버플로우]
1.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정수형에는 모두 4개의 자료형이 있으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byte(1byte) → short(2byte) → int(4byte) → long(8byte) * 정수형의 기본 자료형(default data type)은 'i
yermi.tistory.com
- 변수의 리터럴
[JAVA] 상수와 리터럴(constant & literal) [상수와 리터럴의 정의, 리터럴의 타입과 접미사]
1. 상수(constant) 상수(constant)는 변수처럼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 달리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상수를 사용함에 있어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한데 다음과 같다
yermi.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