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조건 연산자, 대입 연산자[조건 연산자(?:), 대입 연산자(=, op=)]
1. 조건 연산자(?:) 조건 연산자는 조건식, 식1, 식2 모두 세 개의 피연산자를 필요로 하는 삼항 연산자이다. 조건식 ? 식1(true) : 식2(false) int i = 0; String result = i % 2 == 0 ? "짝수" : "홀수"; S..
yermi.tistory.com
[JAVA] 산술 연산자(2)[나머지 연산자(%) : 홀수, 짝수, 배수 검사]
1. 나머지 연산자(%) 나머지 연산자는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 피연산자로 나누고 난 나머지 값을 결과로 반환하는 연산자다. * 나누는 수(오른쪽 피연산자)로 0은 사용할 수 없다. 나머지 연산
yermi.tistory.com
1. 윤년 계산 방법
1. 연수가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다. ex) 2004년, 2008년, 2012년, …
2. 연수가 4와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평년'이다. ex) 2100년, 2200년, 2300년, …
3. 연수가 4와 100,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다. ex) 2000년, 2400년, 2800년, …
2. 윤년 식 만들기
String a = year % 4 == 0 ? "윤년" : "평년"; //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
String b = year % 100 != 0 ? "윤년" : "평년"; //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해
String c = year % 400 == 0 ? "윤년" : "평년"; //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
String result = year % 4 == 0 && year % 100 != 0 || year % 400 == 0 ? "윤년" : "평년";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Leapyea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f("연도를 입력하세요. >>");
String input = scanner.nextLine();
int year = Integer.parseInt(input);
String result = year % 4 == 0 && year % 100 != 0 || year % 400 == 0 ? "윤년" : "평년";
System.out.println(result);
}
}